본문 바로가기
노후대비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 및 등록 방법 알아보기

by 써칭펄슨 2024. 11. 6.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을 갖춘 경우 등록해 놓으면 건강보험료 부담 없이 의료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역가입자로 전환되어 건강보험료를 납부할 경우, 금액이 꽤 크므로 피부양자 자격을 유지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과 등록 방법에 대해 상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1. 건강보험 피부양자란?

 건강보험 피부양자는 보험료를 납부하지 않으면서 부양자의 건강보험 납부에 의해 보험 혜택을 볼 수 있는 것을 말합니다.  주로 은퇴한 부모님, 학생 자녀, 주부 등이 해당되며, 자격 기준을 충족할 경우에만 등록이 가능합니다.

 

2.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 요건

 건강보험 피부양자가 되기 위해서는 관계 요건, 소득 요건, 재산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2-1. 건강보험 피부양자 관계 자격 요건

 먼저 건강보험 피부양자로 등록하기 위해서는 부양자와의 관계가 중요합니다. 현재 피부양자로 등록 가능한 관계로는 배우자, 직계존비속(부모, 조부모, 자녀, 손자녀), 형제. 자매(만 30세 미만, 만 65세 이상, 장애인 국가유공자)가 있습니다. 앞으로 개정안에는 배우자 외에는 대폭 줄일 예정이라고 합니다.

 

2-2. 건강보험 피부양자 소득 자격 요건 

 다음으로 중요하게 볼 부분은 소득 자격 요건입니다.

  • 소득 합계액이 2,000만원 이하일 경우에만 피부양자로 등록가능
  • 여기서 소득이란 배당, 사업, 이자, 연금, 기타 합계를 모두 포함한 소득
  • 사업소득이 500만원 이하일 경우만 가능
  • 사업자등록증이 있을 경우에는 소액의 사업소득만 있어도 무조건 피부양자 자격 박탈
  • 분리과세에 해당하는 소득 역시 합산 반영

 

2-3. 건강보험 피부양자 재산 자격 요건

 마지막으로 건강보험 피부양자 재산 자격 요건은 재산세 과세표준합 5억 4천만 원 이하라고 합니다. 5.4억 원을 초과한다고 해서 무조건 바로 피부양자 재산이 박탈되는 것은 아닙니다. 단, 연 1,000만 원 이하의 소득 요건에 해당해야 한다고 합니다.

 

3. 건강보험 피부양자 등록 방법

 건강보험 피부양자 등록 방법은 정말 간단합니다. 위의 자격 요건을 모두 갖추었다면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등록 가능합니다. 

3-1. 건강보험 피부양자 등록 온라인

 4대사회보험정보연계센터 웹 사이트를 통해 건강보험 피부양자 등록이 가능합니다. 공인인증서는 물론이고 네이버, 카카오톡 인증서 등을 사용하여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3-2. 건강보험 피부양자 등록 오프라인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 방문을 통해 신청이 가능합니다. 방문 시에 필요한 서류를 미리 준비해서 방문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이외에도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전화를 하거나 팩스로 관련 서류를 전송하여 등록할 수 있습니다.

3-3. 건강보험 피부양자 등록 필요 서류

  • 피부양자 자격(취득, 상실)신고서
  • 가족관계증명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