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후대비

노후 준비를 시작하는 사람들을 위한 체크리스트

by 써칭펄슨 2024. 11. 23.

 노후는 누구에게나 반드시 찾아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미리 노후 준비를 하지 않고 4~50대가 되어서야 노후준비의 중요성을 느끼고 막막해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노후 준비를 시작하는 사람들을 위한 필수 체크리스트에 대해 상세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하나씩 실천하시면서 미래를 설계하시기를 바랍니다.

 

1. 현금흐름 파악하기

 노후 준비를 위해서는 가장 먼저 현재의 현금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현재의 소득과 지출을 분석, 매달 저축 가능한 금액 확인하기
  • 부채가 있다면 상환 계획 세우기
  • 비상금을 마련하여 긴급 상황에 대비하기(최소 3~6개월 이상의 생활비)

* 팁: 가계부 어플을 사용한다면 현재 재정 상태를 손쉽게 파악 가능합니다.

2. 노후 필요자금 계산하기

 노후에 필요한 생활비가 어느 정도인지 미리 파악하면 목표 설정이 가능합니다.

  • 은퇴 이후 월 평균 생활비 추정하기(고정비, 변동비 분류하여 파악)
  • 평균 기대수명을 고려하여 총 필요자금 계산하기
  •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주택연금, 배당금, 월세 등의 예상 수입 확인하기

* 팁: 금융감독원의 '통합연금포털'을 활용하시면 편리합니다. 하기 링크 클릭하시면 통합연금포털로 이동합니다.

https://www.fss.or.kr/fss/lifeplan/lifeplanIndex/index.do?menuNo=201101

 

금융감독원 통합홈페이지

금융감독원 통합홈페이지.

www.fss.or.kr

 

3. 연금 준비 점검하기

 노후 대비를 위해 연금 준비가 핵심입니다.

  • 국민연금 가입상태와 예상 수령액 확인하기(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 확인가능), 아래 링크 클릭 바랍니다.

https://www.nps.or.kr/jsppage/main.jsp

 

국민연금공단

현재 접속 사용자가 많아 대기중이며, 잠시만 기다리시면 자동 접속됩니다.

www.nps.or.kr

 

  • 퇴직연금 적립 상태 점검하기(DB형인지 DC형인지 점검 후에 DC형이라면 자금 운용하기), 하기 포스팅 참고

2024.11.07 - [노후대비] - 퇴직연금: DB형(확정급여형)과 DC형(확정기여형) 차이, 중도인출 및 수령방법 총정리

 

퇴직연금: DB형(확정급여형)과 DC형(확정기여형) 차이, 중도인출 및 수령방법 총정리

국민연금 수령여부가 불투명해지면서, 퇴직연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퇴직연금은 크게 DB형(확정급여형)과 DC형(확정기여형)의 차이부터 중도인출 및 수령방법

always-searching-information.tistory.com

  • 개인연금(IRP, 연금저축) 가입 여부 확인하기, 미 가입 시 본인에게 유리한 상품으로 가입하기, 하기 포스팅 참고

2024.11.16 - [노후대비] - IRP 뜻, 세액공제 혜택, 계좌 개설 방법, 가입 시 유의사항 알아보기

 

IRP 뜻, 세액공제 혜택, 계좌 개설 방법, 가입 시 유의사항 알아보기

IRP는 노후 대비를 위해 개인이 직접 가입할 수 있는 퇴직연금 계좌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IRP 뜻, 세액공제 혜택, 계좌 개설 방법 등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IRP란? IRP는 Invidual Reti

always-searching-information.tistory.com

 

4. 투자 포트폴리오 구성하기

 단순 저축만으로는 인플레이션을 극복하기 어려우므로, 투자는 필수적입니다.

  • ETF, 채권, 펀드 등 변동성이 적고 안전한 투자 상품으로 노후 대비하기
  •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낼 수 있는 분산 투자 전략 세우기
  • 배당주, 월세 등의 현금 흐름을 발생시키는 투자상품 검토하기

5. 그 외 체크리스트

  1. 노후대비의 가장 큰 변수는 건강입니다. 정기 건강검진과 꾸준한 운동, 실손보험·암보험 등의 가입은 필수입니다.
  2. 노후 주거 안정성 역시 중요합니다. 실거주 집의 대출 여부를 검토하고, 필요시 호가가 낮은 집으로 이사합니다. 주택 유지비와 관리비를 검토하고, 이후에 주택연금 가입을 통해 현금흐름을 창출하는 방법도 검토해 볼 수 있습니다.
  3. 은퇴 후에 시간을 보낼 방법을 고민하는 것 또한 중요합니다. 소일거리나 제 2의 직업을 탐색하고, 새로운 취미를 배우며 지인들과 시간을 함께 보내며 외로움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